티스토리 뷰

반응형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

 

구직촉진수당을 받고 있는 분이 중단하거나 중도포기 후 실업급여로 전환하여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할 수가 있습니다. 구직촉진수당과 실업급여의 차이점과 상호 전환이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직촉진수당 vs 실업급여 : 무엇이 다를까?

구분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목적 취업 취약계층의 취업 촉진 및 생계 지원 실업자의 소득 상실 보전 및 재취업 촉진
대상 소득·재산 등 요건 충족하는 취약계층 고용보험 가입자로서 비자발적 실직자
지급액 매월 50만 원 (최대 6개월)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나이에 따라 일정 금액 지급
재원 일반 재정 (국가 예산) 고용보험 기금(근로자와 사업주가 납부한 보험료)

 

 

 

구직촉진수당과 실업급여, 전환 가능할까?

구직촉진수당에서 실업급여로 전환은 불가능합니다. 두 제도는 각각의 목적과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대체하거나 전환할 수 없습니다. 다만, 실업급여 수급이 종료된 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구직촉진수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환이 불가능한 이유

  1. 중복 수급 금지: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동안에는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2. 대상 차이: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며, 구직촉진수당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실업급여 종료 후 구직촉진수당 신청 가능 여부

실업급여 수급이 끝난 후, 아래 조건을 충족하면 구직촉진수당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실업급여 종료일로부터 6개월 경과
  • 소득 요건: 가구 중위소득 60% 이하
  • 재산 요건: 가구 재산 합계 4억 원 이하
  • 취업 경험 요건: 최근 2년 내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 취업 경험

 

주의해야 할 점

  • 이미 실업급여를 받고 있다면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구직촉진수당) 신청 불가
  • 반대로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으로 구직촉진수당을 받고 있다면, 해당 기간 중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음
  • 소득 발생 시 반드시 신고 필요 (미신고 시 부정 수급으로 간주될 수 있음)

 

핵심 정리

구직촉진수당에서 실업급여로의 전환은 불가능하며, 실업급여 종료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조건을 충족하면 구직촉진수당 신청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제도를 선택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중복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중복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중복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중복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중복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중복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
구직촉진수당 실업급여 전환

반응형